지우의 피카츄가 진화하지 않은 건에 대하여
피카츄의 탈을 쓴 DAO 이야기
지우의 피카츄가 진화하지 않은 이유
지우의 피카츄는 왜 라이츄로 진화하지 않았을까?
어느날 갑자기 왜 지우의 피카츄는 라이츄로 진화하지 않았는지 궁금해졌다. 피카츄의 상태로 모험을 헤쳐나가는 것보다, 중간에 어떠한 사건을 통해 라이츄로 진화한다음에 한단계 더 강해진 모습으로 싸우는 것이 더 극적이지 않은가?
해당 글에서 위 질문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었다.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갈색시티에 도착한 지우 일행은 뱃지를 얻기 위해 체육관에 도전하는데, 하필 그 상대가 피카츄의 진화형 라이츄였다.
그렇게 처음 붙었을 때는 피카츄가 완패하고, 지우도 피카츄를 진화시킬지 안 시킬지 고민하지만, 피카츄는 진화하기 싫다는 의사를 강하게 표현한다.
이후 다시 맞붙게 되는데, 상대 라이츄가 속도 관련 기술을 익히지 않고, 바로 진화시켰다는 점을 이용하여서 지우의 피카츄는 속도를 바탕으로 승리를 거둔다.
이 이야기에는 몇가지 포인트가 있다.
- 결론적으로 얘기하자면, 지우의 피카츄가 라이츄보다 강했기 때문에, 피카츄는 굳이 진화할 필요가 없었다. 이는 꼭 모든 포켓몬의 진화형이 진화하지 않은 것보다 더 우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 진화는 선택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포켓몬 세계관에서 일반적인 기조는 모든 포켓몬은 일정 조건이 충족되면, 자연스럽게 진화해야된다는 것이었는데, 이 에피소드를 통해 진화가 선택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언스케일링
모든 집단이 스케일링해야할까? 꼭 모든 집단이 시간에 따라 규모를 키워야할까?
탈중앙화된 집단에서는 규모가 커지는 것이 오히려 리스크로 작용한다. 아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노드의 수가 증가하게 되면, 그에 비례하여 조정 비용(coordination cost)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는 같은 결정을 내리더라도, 더 많은 시간과 자본이 투입됨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모든 피카츄가 라이츄가 될 필요가 없듯이, 모든 집단이 스케일링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DAO는 지우의 피카츄처럼 다른 큰 규모의 집단(라이츄)들을 이길 수 있는 고유한 특성을 갖추고 있다. 상대 라이츄가 속도 관련 기술을 익히지 않은 점을 파고든 것처럼, DAO들은 기존의 큰 규모의 집단들이 가지는 약점을 파고들어서 그들을 능가할 수 있다.
그래도 스케일링하고 싶다면
그래도 DAO의 구조로 더 많은 것들을 하고 싶다면 어떻게 할까?
약 3가지의 대안이 있다. subDAO, service DAO, community soft forking이다.
subDAO
subDAO, pods라고 불리는 것들은 하나의 큰 DAO 안에서 여러 기능으로 나뉘는 말 그대로 sub DAO이다. 보통 각 subDAO들은 하나의 특화된 목표를 가지고 활동하는데, 쉽게 한 회사에서 각 기능에 따른 부서들이 나눠진 것이랑 같은 논리라고 보면 된다.
내가 느끼기에 subDAO는 이 3가지 대안 중에 가장 높이 평가받고 있는데, 그렇기에 나는 subDAO에 대한 우려점을 얘기하려고 한다. subDAO 자체는 작은 규모로 DAO의 특성을 아주 잘 살릴 수 있는데, 문제는 결국 하나의 DAO에 포함되기 때문에, 규모에 비례하는 조정 비용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는 마치 우리 몸의 기관계들이 결국 서로 협업하여서 우리 몸을 이끄는 것과 흡사하다. 각 기관계들이 아무리 독립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어도, 독립적으로 존재하게 된다면, 우리 몸은 작동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subDAO는 가장 현실적이지만, 비현실적인 대안이라고 볼 수 있다.
Service DAO
Service DAO들은 각 기능에 특화된 DAO들을 말한다.
위 그림처럼, 개발, 디자인, 오딧, HR 등 각 분야에 특화된 DAO들이 오직 그 목표를 위해서만 작동한다. subDAO와의 가장 큰 차이는 subDAO가 하나의 DAO 안에서 각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DAO이라면, service DAO들은 아예 독립적이다. 대신 필요에 따라서, DAO들은 service DAO들을 고용하여서 비용을 지불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Service DAO의 가장 큰 장점은 DAO들이 그 서비스가 필요할 때만 service DAO들을 찾아서 함께 일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조정 비용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그렇기에 나는 개인적으로는 service DAO가 subDAO보다는 더 DAO의 특성을 잘 살릴 수 있는 구조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단점은 DAO2DAO 협업의 모호성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나아지겠지만, 현재는 워낙 DAO가 법적으로 애매하다보니, DAO끼리의 계약이나 협업에 대하여 강제성이나, 법적인 규제가 없다는 것은 서로에게 큰 리스크이다.
Community soft forking
Community soft forking라는 단어는 Luca Prosperi의 다음 글에서 가져왔다. Community soft forking의 가장 대표적인 예시는 FOMO Nouns, Lil Nouns와 같이 Nouns DAO에서 파생된 여러 프로젝트들이다. 이 프로젝트들은 엄밀히 따지면, Nouns DAO 내부 프로젝트가 아니다. 물론 Nouns DAO로부터 펀딩을 받기는 하였지만, 기존의 커뮤니티 멤버들이 Nouns DAO에서 fork하여 독립적으로 만든 프로젝트이다.
Community soft forking의 최대 장점은 이론적으로 horizontal scaling이 무한대로 가능하다는 것이다. Horizontal scaling이 기존의 스케일링과 다른 점은 각각의 독립적인 DAO들이 각자의 특색은 살린채로 함께 가치를 모을 수 있다는 것이다. 여러 Nouns 파생 프로젝트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활동하는데 여기서 발생하는 가치들은 다시 Nouns DAO로 흘러들어간다.
이 Community soft forking의 문제점은, 가치 기여에 대한 평가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Lil Nouns가 펀딩받은 비용에 대하여 실제로 Nouns DAO에 얼만큼의 가치를 발생시켰는지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Nouns DAO의 경우에도, Nouns 파생 프로젝트들의 가치들이 Nouns DAO로 흘러들어갈 것이라고 ‘믿는’ 것이지, 뭔가 명확한 근거가 있는 것은 아니다.
마무리하며
모든 집단이 스케일을 키우는 방향으로 성장해야된다고 생각이 들 때는 지우의 피캬츄를 떠올리자. 스케일링은 DAO에게 선택이며, 오히려 스케일을 키우지 않았을 때 진정한 DAO스러움을 통하여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이 DAO스러움과 작은 규모를 유지한채로, 필요시에 subDAO, service DAO, community soft forking을 통해 더 많은 것을 노려볼 수도 있다.